예제파일 : https://github.com/seyoungcho2/GradleKotlinDSL Gradle with Kotlin DSL Groovy로 빌드 파일을 작성하는 것은 불편하다. 다른 곳에서 선언된 변수에 대해 자동완성이 지원되지 않고 문서 찾기가 어렵다. 실행시점 전까지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다. IDE에서 제공하는 리펙터링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Intellij 기준 Shift+F6 을 눌러서 리펙토링 불가) 코드 작성이 제약이 약해 빌드 스크립트가 자유 분방해진다. Groovy는 같은 코드를 여러 방식으로 쓰는 것을 허용한다. 대표적 예로 문자열을 쓸 때 ' 를 쓰는 것과 "를 쓰는 것이 모두 허용되는 점이다. 왜 Kotlin DSL로 이전해야 하는가? 코드 자동완성과 참조 오류코드 강..
목표 enum class의 사용법을 이해한다. enum class에 대한 함수 만들기 class Task { var state: State = State.WAITING fun printState() = when(state){ State.WAITING -> println("Waiting..") State.PROCESSING -> println("Processing..") State.DONE -> println("Task done") } enum class State { WAITING, PROCESSING, DONE } } 앞의 글에서 위의 코드를 보았다. 하지만, 이 코드는 문제가 있다. 특정한 state가 추가될 때마다 when의 분기에 무조건 print를 위한 처리 로직을 넣어주어야 한다. 공통 함수 ..
목표 enum class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enum class가 사용되어야 하는 곳을 이해한다. enum class를 왜 사용해야 하는가? 변수의 상태 별로 다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코드를 짜야한다면 어떻게 짜야할까?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방법은 변수의 상태를 상수로 정의한다음 상태 별로 동작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Task라는 작업 단위가 있고 해당 작업 단위의 상태값이 state를 출력해주는 클래스를 설계한다고 해보자. 그러면 해당 클래스는 아래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ss Task { var state: Int = WAITING fun printState() = when (state) { WAITING -> println("Waiting..") PROCESSING -> println..
목적 Kotlin의 상속 변경자가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이유와 의미를 이해한다. 개요 Java에서는 class는 기본적으로 상속이 가능했다. 상속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final 변경자를 붙여야 했다. 객체 지향적인 관점에서는 객체가 있고 해당 객체에 대한 코드를 줄이기 위해 재사용 가능하다면 재사용 하는 것이 좋지만, 이러한 사용 방식은 상속하는 기반 클래스가 변경이 없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기반 클래스가 변경이 잦은데 무분별하게 클래스를 상속하게 된다면, 취약한 기반 클래스(fragile base class)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기반 클래스가 변경될 때마다 기반 클래스를 상속하는 모든 자식 클래스들은 변경되어야 하며, 어느 부분에 문제가 생길지 모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틀린에서..
목차로 돌아가기 [Kotlin Collection] Kotlin에서 확장함수를 이용해 Collection 조작하기 목표 Collection 확장함수가 하는 일을 이해한다. 자유롭게 확장 함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조작한다. 개요 Kotlin에서는 일반 컬렉션에도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확장 함수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kotlinworld.com 목표 forEach와 관련된 확장함수를 익힌다. 관련 확장함수들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확장함수 목록 forEach forEach는 각 Iterable에 대한 확장함수로, 기존의 for문을 사용하던 외부 반복(Iteration)에서 내부 반복(Iteration)으로 바꿔줄 수 있게 하여 가독성을 좋게 만든 확장 함수입니다. forEach : for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