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목차로 돌아가기 [Kotlin Collection] Kotlin에서 확장함수를 이용해 Collection 조작하기 목표 Collection 확장함수가 하는 일을 이해한다. 자유롭게 확장 함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조작한다. 개요 Kotlin에서는 일반 컬렉션에도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확장 함수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kotlinworld.com 목표 변환함수의 개념을 익히고, map과 flatMap의 차이점을 익힌다. map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flatMap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확장함수 목록 map map는 Collection을 다른 형태로 변환해주기 위해 사용한다. map : map은 인자로 받은 transform function을 통해 기존 Collection을 변형시킨 List를 ret..
블록 내부의 모든 코루틴에 SupervisorJob()을 설정 : supervisorScope 앞선 12번글에서 SupervisorJob을 이용해 Error을 Handling하는 방법을 알았다. 하지만, 매번 CoroutineContext에 SupervisorJob을 설정할 필요 없이 특정 블록 내부의 모든 코루틴에 Supervisor Job을 설정하고 싶을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supervisorScope이다. 과 같이 supervisorScope 내부에 코루틴이 있다면 모든 코루틴은 SupervisorJob의 적용을 받게된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suspend fun main() { CoroutineScope(Dispatchers.IO).launch { // ..
기존에 다른 코루틴에 보내진 작업의 결과를 수신하려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만들어야 했다 suspend fun main() { val deferred: Deferred = CoroutineScope(Dispatchers.IO).async { "Async Result" } val result = deferred.await() println(result) } Deferred로 결과값을 감싼 다음 await() 메서드를 통해 해당 값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withContext를 이용한 비동기 작업 순차화 withContext를 이용하면 withContext의 두가지 특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withContext 블록의 마지막 줄의 값이 반환 값이 된다. withContext..
Deferred란 Deferred는 직역하면 연기라는 뜻을 가진다. "결과값 수신을 연기한다"라는 뜻인데, 이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결과값이 올 것을 뜻한다. Deferred의 의미와 같이 "Deferred는 결과값을 수신하는 비동기 작업" 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Deferred는 Job이다. public interface Deferred : Job { public suspend fun await(): T public val onAwait: SelectClause1 .. } Deferred는 결과가 있는 비동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결과 값이 없는 Job을 확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Deferred는 Job이며, 이로 인해 Deferred는 Job의 모든 특성을 갖는다. 8번 글이었던 Job의 상태..
코틀린과 코루틴 코루틴은 코틀린 언어의 기본 기능으로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 설정 없이도 코루틴을 위한 저수준 API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언어에 내장된 기능만으로는 launch나 async 같은 고수준 API는 사용할 수 없다. launch나 async 같은 고수준 API는 Jetbrains 사에서 배포한 kotlinx-coroutines 라이브러리의 기능으로, coroutine-core(org.jetbrains.kotlinx:kotlinx-coroutines-core:1.7.3)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을 설정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블록을 build.gradle 파일에 추가해야 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jetbr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