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Maven Central에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배포하는 방법 한 번에 정리하기
Maven Central에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배포하기 이번에 첫 라이브러리 Compose Dynamic Theme을 배포하면서, Maven Central에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한국어 자료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Step by Step으로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면 한국에서 오픈소스 기여 문화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하게 되었다. GitHub - seyoungcho2/ComposeDynamicTheme: Provides Dynamic Theme for Jetpack Compose Provides Dynamic Theme for Jetpack Compose. Contribute to seyoungcho2/ComposeDynamicTheme developme..
[GitHub Actions] Job 간에 파일 공유하기
서로 다른 가상 머신에서 동작하는 Job build Job을 통해 ubuntu-latest 머신에 저장된 파일들은 다른 Job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같은 이름의 머신이더라도 실제는 다른 가상 머신에서 돌아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build Job 다음에 실행되는 deploy Job을 추가한 다음 위에서 Apk를 Job Artifact로 만드는데 사용한 Path를 제공한다면 접근할 수 없다. 한 번 시도해 보자. 먼저 빌드를 하는 Job을 만든다. build: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Check out Repository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set up JDK 11 uses: actions/setup-java@v3 with..
[Jetpack Compose] AnimatedVisibility 활용해 Animation 처리하기
Compose의 AnimatedVisiblity 란? AnimatedVisibility란 Jetpack Compose에서 나타짐과 사라짐을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API이다.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API이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API이다. 왠만한 애니메이션들은 AnimatedVisibility 하나로 모두 처리할 수 있다. Animated Visibility 내부 살펴보기 AnimatedVisiblity 내부에는 visible, modifier, enter, exit, label, content 총 6가지 파라미터가 들어간다. @Composable fun AnimatedVisibility( visible: Boolean, modifier: Modifier = Modifier, enter..
[Jetpack Compose] ViewPager Tab Layout에 연결하기 : 스와이프해 탭 바꾸도록 만들기
Tab과 ViewPager은 언제 사용되는가? Swipe해서 탭이 바뀌는 UI는 많은 앱에 쓰이며, 여러 페이지를 탭으로 구성해 사용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그림1과 같은 동작으로 Tab을 직접 클릭해서 Page를 이동할 수도 있으며, Swipe 동작을 통해 페이지를 이동할 수도 있다. 오늘은 이러한 UI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위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들을 거쳐야 한다. Tab + ViewPager 만들기 위한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Tab 목록 만들기 PagerState 선언하기 CoroutineScope 선언하기 TabRow 만들기 HorizontalPager 만들기 Compose로 Tab과 ViewPager 만들기 1. Tab + ViewPager 만들기 위한 ..
[Android] LruCache 사용해 이미지 캐싱하기(Bitmap Cache)
LruCache 란? LruCache객체는 안드로이드에서 캐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캐시 객체이다. LruCache 객체는 LRU(Least Recent Used)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간단히 말해서 최근에 조회된 것을 캐시에서 삭제하는 것을 늦추기 위한 객체이다. 즉, 오랫동안 접근되지 않은 메모리가 우선적으로 삭제된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이 알고리즘에 대한 구현체를 제공하는데 바로 LruCache 클래스이다. LruCache 객체 내부를 보면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다. *java 코드이니 감안해서 보도록 하자. public class LruCache { public LruCache(int maxSize) { .. } .. } 이 LruCache는 제네릭으로 선언되어 있는데 K가 캐시에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