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outine

    [Coroutine] 10. Deferred를 이용한 결과값 수신

    Deferred란 Deferred는 직역하면 연기라는 뜻을 가진다. "결과값 수신을 연기한다"라는 뜻인데, 이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결과값이 올 것을 뜻한다. Deferred의 의미와 같이 "Deferred는 결과값을 수신하는 비동기 작업" 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Deferred는 Job이다. public interface Deferred : Job { public suspend fun await(): T public val onAwait: SelectClause1 .. } Deferred는 결과가 있는 비동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결과 값이 없는 Job을 확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Deferred는 Job이며, 이로 인해 Deferred는 Job의 모든 특성을 갖는다. 8번 글이었던 Job의 상태..

    [Coroutine] 9. Coroutine Job에서 Exception이 발생했을 때 Exception Handling을 하는 방법

    이번 글에서는 Job의 Exception을 Handling하는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Exception을 Handling하는 방법은 invokeOnCompletion을 이용한 방법과 CoroutineExceptionHandler 을 이용하는 방법 이 있다. 먼저 invokeOnCompletion을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invokeOnCompletion을 이용한 Exception Handling 앞서 7번 글에서 다웠던 invokeOnCompletion을 코루틴 내부에서 애러가 발생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invokeOnCompletion을 사용해 Exception을 Handling할 수 있다. suspend fun main() { val job = CoroutineScope(Disp..

    [Coroutine] 8. Coroutine Job의 상태 변수 isActive, isCancelled, isCompleted 알아보기

    Job의 상태 변수 : isActive, isCancelled, isCompleted Job의 상태 변수는 세가지가 있는데 의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 상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isActive: Job이 실행중인지 여부를 표시 isCancelled: Job cancel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표시 isCompleted: Job의 실행이 완료되었거나 cancel이 완료었는지를 표시 자세한 상태변화를 아래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Job이 CoroutineStart.LAZY 옵션으로 생성되었을 때 상태 변화 Job을 생성됨에서 실행중 상태로 자동으로 넘기지 않기 위해 CoroutineStart.LAZY 옵션을 이용해 Job의 상태변수를 다루어보자. isActive isCancelled ..

    [Coroutine] 7. Coroutine Job 상태 관리하기 : New, Active, Completed, Cancelling, Cancelled

    Job의 상태 Job의 상태는 생성, 실행 중, 실행 완료, 취소 중, 취소 완료 총 5가지이다. 생성(New) : Job이 생성된다. 실행 중(Active) : Job이 실행 중이다. 실행 완료(Completed) : Job의 실행이 완료되었다. 취소 중(Cancelling) : Job이 취소되는 중이다. Job이 취소되면 리소스 반환 등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취소 중 상태가 있다. 취소 완료(Cancelled) : Job의 취소가 완료되었다. 앞선 글에서 다룬 내용 : Job의 생성과 실행 앞선 글에서 우리는 Job의 생성과 실행을 다루었다. launch를 통한 Job의 생성 및 실행 launch에 CoroutineStart.LAZY 옵션을 추가하여 Job을 바로 실행되지 않게 만들기 Corou..

    [Coroutine] 5. suspend fun의 이해

    일시중단 가능한 코루틴 코루틴은 기본적으로 일시중단 가능하다. launch로 실행하든 async로 실행하든 내부에 해당 코루틴을 일시중단 해야하는 동작이 있으면 코루틴은 일시 중단된다. 예시로 보는 일시중단 일시 중단 가능하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을 보자. 위 그림을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주석의 숫자와 그림1의 숫자를 일치하도록 하였다. fun exampleSuspend(){ val job3 = CoroutineScope(Dispatchers.IO).async { // 2. IO Thread에서 작업3를 수행한다. (1..10000).sortedByDescending { it } // 5. 작업3가 완료된다. } val job1 = CoroutineScope(Dispatchers.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