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 초기화가 필요한 이유@Component 어노테이션이나 @Bean 어노테이션을 통해 IOC Container에 Bean을 등록하면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등록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초기화 시 InitTestUseCase Initialized 를 출력하는 InitTestUseCase를 만들어보자.@Componentclass InitTestUseCase { init { println("InitTestUseCase initialized") }} 그런 다음 Configuration 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든 후@ComponentScan@Configurationclass InitConfiguration 다음과 같이 컨테이너를 초기화 하고, "After container ini..
@Component를 사용하지 못하고 @Bean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Component 어노테이션은 클래스 위에 붙는다. 즉, 내가 클래스를 만들 수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라이브러리의 클래스를 Bean으로 만들 경우 @Component를 사용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A메신저에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데, 이 라이브러리에는 A메신저의 채팅방에 알림을 보내기 위한 AChatService 라는 클래스를 제공한다고 해보자.// 다른 라이브러리의 클래스라서 수정할 수 없다고 가정class AChatService() { fun sendMessage(message: String) { println("Message sent: $message") }} 이런 경우 우리는 A..
Bean의 의존성 주입 우선 순위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음과 같은 모양의 UserRepository와 두 개의 구현체 InMemoryUserRepository, DbUserRepository 가 있다고 해보자.interface UserRepository { fun createUser(id: String, user: String)}class InMemory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override fun createUser(id: String, user: String) { println("User $user created with id: $id in InMemoryUserRepository") }}class DbUserRepository(): ..
클래스 초기화 시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이전 시간까지 우리는 String 타입이나 Int 같은 간단한 타입의 Bean만 만들었다. 하지만,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는 클래스들이 다른 클래스에 의존하기 때문에 주입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즉, 초기화를 위해 의존성을 주입 받아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UserCreator 클래스가 있다고 해보자.class UserCreator(private val repository: UserRepository) { fun createUserWithRandomId(user: String) { val id = UUID.randomUUID().toString() repository.cr..
의존성 주입을 알기 위해 미리 알아야 내용들[Spring] 의존성이란 무엇인가? 강한 결합과 느슨한 결합을 통해 이해하는 의존성[Spring] 느슨한 결합의 장점과 한계 자세히 알아보기 의존성 주입이란?의존성이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객체에 의존성이 있는 객체를 초기화 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의존성이 있는 객체를 직접 만든 다음 주입해주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유저의 정보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데이터 레이어 객체 UserRepository가 있다고 해보자.class UserRepository() { private val idToUserMap = mutableMapOf() fun getUser(id: String): 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