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CI\CD/Gradle

Gradle이란 무엇인가? 하는 일, 강점, 빌드 속도가 빠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Gradle은 무엇을 하는가?

Gradle은 CI/CD를 위한 아래 Task들을 자동화 시켜주는 Build Tool이다. 

 

  • Compile
  • Test
  • Packaging
  • Deploy & Run

 

안드로이드를 기준으로 Compile은 Kotlin 파일이나 Java파일을 바이트 코드로 변환해주는 작업이며, Test는 어플리케이션이 제대로 동작할지에 대한 Test를(유닛 테스트, UI 테스트 등) 지원한다. Packaging의 경우에는 코드를 패키징해 aab 파일이나 apk 파일로 만들어주는 것을 뜻하며, Deploy & Run은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패키징해서 실제 기기에 넣어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뜻한다.

 

스프링을 기준으로는 Compile과 Test는 안드로이드와 같으며, Packaing은 스프링 코드를 패키징 해 jar나 war 파일로 만들어준다. Deploy&Run은 만들어진 스프링을 돌려 서버를 실행해주는 것을 뜻한다.

 

 


Gradle의 강점

Gradle은 다음의 강점을 가진다.

  • 직관적인 코드와 자동완성
  • 다양한 Repository 사용 가능 
  • 각 작업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만을 가져오는 작업

 

직관적인 코드와 자동완성

Gradle은 Maven이나 Ant 등의 다른 빌드 툴들에 비해 매우 직관적이다. 특히 Maven의 경우 모든 파일들이 xml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실상 매우 알아보기가 힘들고, 문서를 찾기도 힘들다. 실제 이전 회사에서 Maven을 사용했었는데,  Maven xml을 이상하게 짜놓아서 xml 파일을 파악하는데 몇시간이 걸린 적도 있다. 하지만, Gradle은 Markup Language가 아닌 Groovy나 Kotlin으로 짤 수 있어서 매우 가독성이 뛰어나다.

 

몇년 전까지는 Groovy만 지원해서 자동완성과 코드 찾기가 안되어 매우 불편했는데, 최근에는 Kotlin DSL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가독성 또한 매우 올라갔고 커스텀 스크립트를 정말 손쉽게 짤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Repository의 사용 가능

Gradle은 다양한 Repository의 사용이 가능하다. Maven Repository(Google Maven Repository, Maven Central 등), JCenter(안드로이드에서 최근에 Deprecated 되었다) 외 커스텀 파일 저장 공간 등 다양한 저장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단순히 Repository에 대한 정의만 해주면 된다.

 

특히 최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새로 프로젝트를 만들면 다음과 같이 Repository가 정의되어 있는데 plugin용 레포지토리와 dependency용 Repository에 대한 정의가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luginManagement {
    repositories {
        gradlePluginPortal()
        google()
        mavenCentral()
    }
}
dependencyResolutionManagement {
    repositoriesMode.set(RepositoriesMode.FAIL_ON_PROJECT_REPOS)
    repositories {
        google()
        mavenCentral()
    }
}

 

각 작업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만을 가져오는 작업

최신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만든 후 build.gradle을 보면 아래와 같은 여러 라이브러리에 대한 implementation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implementation은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는 것을 뜻하는데, implementation이 들어가는 자리에 androidTestImplementation, testImplementation debugImplementation 등의 다양한 implementation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안드로이드 UI 테스트를 돌릴 때만 들어가는 라이브러리, 일반적인 테스트를 돌릴 때 들어가는 라이브러리, 디버그 모드에서만 들어가는 라이브러리이다. 즉, 원하는 Scope 별로 다른 라이브러리를 손쉽게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androidx.compose.ui:ui:$compose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compose.material:material:$compose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compose.ui:ui-tooling-preview:$compose_version"
    androidTestImplementation "androidx.compose.ui:ui-test-junit4:$compose_version"
    debugImplementation "androidx.compose.ui:ui-tooling:$compose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activity:activity-compose:1.4.0'

    implementation 'androidx.core:core-ktx:1.7.0'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runtime-ktx:2.4.0'

    testImplementation 'junit:junit:4.13.2'
    androidTestImplementation 'androidx.test.ext:junit:1.1.3'
    androidTestImplementation 'androidx.test.espresso:espresso-core:3.4.0'
}

 

 

 


Gradle이 빌드 속도가 빠른 이유

점진적 빌드(Incremental Build)

Gradle의 점진적 빌드는 이미 빌드된 파일들을 모두 다시 빌드하는 것이 아닌 바뀐 파일들만 빌드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Kotlin 파일이 20개 있는 상태에서 컴파일이 완료되었으면, 이후 파일들 중 5개만 바뀌었을 경우 20개 모두가 아니라 5개만 다시 컴파일 시킨다. 이는 다른 빌드 툴들에 비해 많은 속도 향상을 이루어 낸다.

 

Build Cache

만약 두 개 이상의 빌드가 돌아가고, 하나의 빌드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이 다른 빌드들에 사용된다면 Gradle은 빌드 캐시를 이용해 이전 빌드의 결과물을 다른 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시 빌드하지 않아도 되므로 빌드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Daemon Process

또한 Gradle은 데몬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데몬 프로세스는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오래 동안 살아있는 프로세스인데 Gradle의 데몬 프로세스는 메모리 상에 빌드 결과물을 보관한다. 이로 인해 한 번 빌드된 프로젝트는 다음 빌드에서 매우 적은 시간만 소요된다. 실제로 안드로이드의 경우 프로젝트가 복잡해지면 처음 빌드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는데, 둘 째 빌드부터는 매우 적은 시간이 소모된다.  

 

*다음 명령어로 데몬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gradle build --daemon
gradle build --no-daemon

 

 

 

반응형

 

이 글의 저작권은 '조세영의 Kotlin World' 에 있습니다. 글, 이미지 무단 재배포 및 변경을 금지합니다.

 

 

Kotlin, Android, Spring 사용자 오픈 카톡

오셔서 궁금한 점을 질문해보세요!
비밀번호 : kotlin22

open.kakao.com